2023. 7. 14. 15:20ㆍ책·매거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신작 소설입니다. 주인공 르네 톨레다노가 꿀벌이 사라지고 인류 멸종의 위기를 맞은 2053년 지구를 보고 온 뒤, 미래를 바꾸기 위해 시공간을 넘나들며 고군분투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2047년 7월 마지막 꿀벌이 사라지게 됩니다. 인류는 제 3차 세계대전과 멸종 위기를 겪게 됩니다. 르네가 다녀온 30년 뒤의 미래는 겨울임에도 지구 온난화가 극심해져 기온은 43도가 넘고, 전 세계 인구수는 150억 명에 달하는 충격적인 모습입니다. 꿀벌까지 사라지면서 식량이 부족해 곳곳에서 폭동이 벌어집니다. 전작 '기억'에서 르네 톨레다노는 인류 역사를 되짚고 자신의 전생을 만나면서 '나는 누구인가'를 탐색했다면 이번에는 미래로 시선을 돌려 '우리는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를 묻습니다. 개인의 삶이라는 미시적 관점에서 과거를 살폈던 베르베르가 이제 '우리' 즉 '인류'가 어떤 길을 걸어야 할지 역사라는 거시적 관점에서 모색합니다. 단 하나의 희망은 꿀벌을 되살리는 것. 과연 인류는 미래를 바꿔 낼 수 있을까요?
「인간이 소비하는 식물의 80퍼센트가 꽃식물이네. 그리고 이 꽃식물의 80퍼센트가량의 수분을 담당하는 곤충이 바로 꿀벌이야. 그동안 꿀벌은 서서히 사라지는데 인구는 무서운 속도로 늘어났던 거야. 인간이 직접 손으로 하거나 로봇을 이용한 수분이 가능하다고 믿었지만 그 결과가 신통치 않았지. 조그만 원인 하나가 결국 치명적인 결과를 낳아 전 세계 농업 생산량이 급감했어. 그런 상태에서 기온까지 상승하니 곡물 생산은 더 줄어들었고. 지표면의 사막화 현상이 가속화하고 물 부족이 심화되다 보니 관개수에 드는 비용이 너무 커져 농민들은 이용을 할 수가 없었어.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아프리카와 아시아, 남아메리카 국가들에서는 메뚜기 떼가 창궐해 농사를 망쳐 버렸어. 식량은 부족한데 인구가 많아지면 배고픔을 참지 못한 사람들이 폭동을 일으키는 건 필연적이고 불가역적이지. 지구상 곳곳에서 벌어진 시위들은 무자비한 방식으로 진압됐네.」
밀랍이 시간을 견뎌 냈어. 꿀벌은 9백 년의 시간을 버티는 물질을 만들어 내는구나…….
르네가 벌집을 손전등으로 가까이 비춰 본다.
그가 주머니에서 칼을 꺼내 오렌지색 밀랍층을 조심스럽게 떼어 내기 시작한다.
단단하기는 캐러멜 같고 투명하기는 유리 같아.
떼어 낸 밀랍 속을 들여다보니 꿀벌들이 그 안에 갇혀 화석이 돼 있다. 그중 한 마리는 유난히 다른 벌들보다 크고 통통해 보인다.
「그거 아나? 서기 30년 다니엘이 진흙으로 된 발이 달린 거인의 이미지를 빌려 메시아의 출현을 예고했을 때, 예루살렘에서 메시아를 자처한 사람이 170명이 넘었다는 거? 그들 모두가 예수 그리스도의 경쟁자였던 셈이야.」
메넬리크가 르네와 알렉상드르를 쳐다보며 말한다.
「그 많은 사람들과의 경쟁에서 예수가 이긴 이유가 무엇이었을까요?」
「전체 식물종의 80퍼센트가 꿀벌이 있어야 번식을 할 수 있어요. 꿀벌의 실종은 우리가 그 파장을 예측하기 힘든 어마어마한 환경 재난을 불러올 거예요. 꿀벌에 의한 수분을 사람이나 로봇을 이용한 인공 수분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를 이미 중국에서 한 바 있어요. 하지만 효율이 형편없었죠. 꿀벌을 구하는 일은 여러 가지 환경 문제 중 하나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것은 우리의 생존을 위한 투쟁입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4년만에 내한하였습니다. 9번째 방한으로 전작인 개미,뇌,신을 묶은 30주년 특별판으로 출시되었습니다. '개미'로 데뷔하여 개미의 시각에서 인간 문명과의 조우를 그렸으며, 그 이후 '신', '제3인류', '잠' 등의 작품을 꾸준히 출간하며 독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전 세계 35개 언어로 번역되어 3000만 부 이상이 판매되었는데, 그 중 1300만 부가 한국에서 판매되는 등 특히 한국에서의 인기가 높습니다. '개미'는 국내 출간 당시 외국 소설로는 이례적으로 80만 부가 판매되었습니다.
베르베르의 신작은 이전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미래를 상상하며 현실의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베르베르는 작가 분석집 '베르베르의 조각들'에 수록된 인터뷰에서 세계가 직면한 다양한 문제점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책·매거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으로 돌아가는 푸바오가 남긴 사진집 판매폭증 (0) | 2023.07.19 |
---|---|
테슬라 모터스 라인업 정리 (0) | 2023.07.18 |
[책 문화산책] 빈살만의 두 얼굴 (0) | 2023.06.17 |